language:java:jre-한글-설정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| 이전 판 | ||
language:java:jre-한글-설정 [2018/01/10 17:40] – [JRE를 사용하는 넷빈즈(NetBeans)에서 한글이 제대로 나오게 설정하기] kieuns | language:java:jre-한글-설정 [2024/04/23 22:44] (현재) – 바깥 편집 127.0.0.1 | 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+ | |||
+ | ====== JRE fontconfig.properties ====== | ||
+ | |||
+ | 이거 오래된거라.. 될런가 | ||
+ | |||
+ | * {{: | ||
+ | * {{: | ||
+ | |||
+ | ====== JRE를 사용하는 넷빈즈(NetBeans)에서 한글이 제대로 나오게 설정하기 ====== | ||
+ | |||
+ | 한글이 잘 안나오던지, | ||
+ | |||
+ | 그 이전에 편집기는 UTF-8을 지원하는 상태로 변경 되어야 한다. | ||
+ | 설정 방법은 jre에서 참고하는 폰트 설정 파일을 변경하는 것. | ||
+ | |||
+ | ===== 설정 파일 찾기 ===== | ||
+ | |||
+ | 바꿀파일은, | ||
+ | |||
+ | ==== 넷빈즈 8.2 ==== | ||
+ | |||
+ | 넷빈즈가 자기가 사용할 java를 포함한 상태로 설치되니까, | ||
+ | |||
+ | " | ||
+ | |||
+ | ==== jre를 같이 배포하지 않는 버젼 ==== | ||
+ | |||
+ | * JRE가 설치된 폴더에서 lib 폴더로 이동. | ||
+ | * 32bit : C:\Program Files (x86)\Java\jre6\lib | ||
+ | * 64bit에서도 32bit용 jre를 사용하므로 폴더는 같다. 별도 64bit용을 설치했다면 ' | ||
+ | * fontconfig.properties.src 을 연다. | ||
+ | |||
+ | ===== 파일 수정 ===== | ||
+ | |||
+ | 윈도우즈용 JRE에는 한글 설정이 기본으로 추가 되어 있다. " | ||
+ | |||
+ | sequence 에는 os 언어에 맞춰, 어떤 언어 폰트를 먼저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부분인 것 같다. | ||
+ | |||
+ | <code ini> | ||
+ | # 각 설정 항목에서 ' | ||
+ | sequence.allfonts=alphabetic/ | ||
+ | |||
+ | # ' | ||
+ | |||
+ | # utf-8 도 바꾸고 | ||
+ | sequence.allfonts.UTF-8.hi=alphabetic/ | ||
+ | sequence.allfonts.UTF-8.ja=alphabetic, | ||
+ | |||
+ | # 내 윈도우는 일본어 윈도우라서 일본어 부분도 수정했다. | ||
+ | sequence.serif.windows-31j=alphabetic, | ||
+ | sequence.sansserif.windows-31j=alphabetic, | ||
+ | sequence.monospaced.windows-31j=alphabetic, | ||
+ | sequence.dialog.windows-31j=alphabetic, | ||
+ | sequence.dialoginput.windows-31j=alphabetic,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설정하는김에, | ||
+ | |||
+ | ' | ||
+ | |||
+ | 한글도 바꿔 보면 바뀔 듯하지만.. 고정폭 폰트가 아니면 글자가 이상하게 나올 것이라고 예상. | ||
+ | |||
+ | <code ini> | ||
+ | monospaced.plain.alphabetic=Consolas | ||
+ | monospaced ..... (나머지 항목은 기본값 사용) | ||
+ | monospaced.plain.japanese=MS Gothic | ||
+ | monospaced.plain.korean=GulimChe | ||
+ | |||
+ | monospaced.bold.alphabetic=Consolas Bold | ||
+ | monospaced ..... (나머지 항목은 기본값 사용) | ||
+ | monospaced.bold.japanese=MS Gothic | ||
+ | monospaced.bold.korean=GulimChe | ||
+ | |||
+ | monospaced.italic.alphabetic=Consolas Italic | ||
+ | monospaced ..... (나머지 항목은 기본값 사용) | ||
+ | monospaced.italic.japanese=MS Gothic | ||
+ | monospaced.italic.korean=GulimChe | ||
+ | |||
+ | monospaced.bolditalic.alphabetic=Consolas Bold Italic | ||
+ | monospaced ..... (나머지 항목은 기본값 사용) | ||
+ | monospaced.bolditalic.japanese=MS Gothic | ||
+ | monospaced.bolditalic.korean=GulimChe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consolas 폰트는 파일 정보가 없기 때문에 파일 맨 끝 부분에 추가한다. | ||
+ | |||
+ | 파일 끝 부분은 폰트 파일에 대해서 설정이 모여 있으니 참고. | ||
+ | |||
+ | 설정항목이 filename.(폰트이름) 의 형식으로 적게 되어 있는데, \\ 이때 폰트 이름은 **영문으로 표시되는 실제 폰트 이름**이어야 인식된다. | ||
+ | \\ 없는 폰트는 무시된다. | ||
+ | |||
+ | 마지막으로 파일 이름을 fontconfig.properties 로 저장. 원본 파일은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. | ||
+ | |||
+ | ==== 폰트설정 Consolas ==== | ||
+ | |||
+ | <code ini> | ||
+ | # | ||
+ | filename.Consolas=consola.ttf | ||
+ | filename.Consolas_Bold=consolab.ttf | ||
+ | filename.Consolas_Italic=consolai.ttf | ||
+ | filename.Consolas_Bold_Italic=consolaz.ttf | ||
+ | # 나눔고딕코딩도 추가해볼까?,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==== 폰트설정 DejaVu Sans Mono ==== | ||
+ | |||
+ | <code ini> | ||
+ | filename.DejaVu_Sans_Mono=DejaVuSansMono.ttf | ||
+ | filename.DejaVu_Sans_Mono_Bold=DejaVuSansMono-Bold.ttf | ||
+ | filename.DejaVu_Sans_Mono_Italic=DejaVuSansMono-Italic.ttf | ||
+ | filename.DejaVu_Sans_Mono_Bold_Italic=DejaVuSansMono-Bold-Italic.ttf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====== 설정 파일 ======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{{: | ||